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택배기사들의 집단 괴롭힘으로 택배 대리점주가 극단적 선택을 했던 사건도 기억하실 것입니다. <br> <br>홀로 남은 아내가 계속해서 택배 대리점 일을 이어가고 있는데요. <br> <br>대리점주들은 죽음을 불러온 택배 현장의 갈등이 끝나지 않았다고 호소합니다. <br> <br>다시 간다 남영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능숙하게 지게차를 운전해서 택배상자를 11톤 차량에 싣는 박모 씨. <br> <br>박 씨의 남편은 지난해 세상을 등진 택배대리점주 이영훈 씨입니다. <br> <br>남편은 택배기사들의 배송 거부와 집단 괴롭힘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 선택을 했습니다. <br> <br>박 씨는 기존 배달구역을 정리하고 대리점을 새로 열었습니다. <br> <br>[故 이영훈 씨 아내] <br>"적게 벌더라도 그 사람들하고 안 부딪치는 게 낫다, 배달구역을 내놓겠다. 기억하고 싶지 않은 걸 계속 기억해야 하니까." <br> <br>휴대전화 사진첩엔 택배기사들이 놓고 간 물건을 홀로 배달하는 이 씨의 모습이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[故 이영훈 씨 아내] <br>"이렇게 물건을 방치해 놓은 것도 되게 많아요. 빼놓은 거 보면 일부러 힘들게 하려고 고층에 있는 것들로요." <br> <br>남편은 유서를 통해 "뜬소문과 헛소문에 하루하루 지옥같다", "날이 갈수록 더 심해지는 태업에 버틸 수 없다"며 정신적 고통을 호소했습니다. <br><br>유족은 가해자로 지목된 택배기사 14명을 모욕과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했지만, 재판은 아직도 진행 중이고 처벌받은 사람도 없습니다. <br> <br>이 가운데 10명은 1년 넘게 검찰 수사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. <br> <br>그 사이 1주기 추모식이 열렸습니다. <br> <br>추모식에서는 택배기사 자녀 23명에게 이영훈 장학금이 전달됐습니다. <br> <br>유족과 동료 대리점주들이 십시일반으로 돈을 모아 만든 장학금입니다. <br> <br>[동료 택배 대리점주] <br>"고인의 이름으로 얼마 안되지만 장학금도 주고 같이 상생하면서 잘 살 수 있도록 뜻을 모았습니다." <br> <br>현장은 달라졌을까. <br> <br>목에 수건을 두르고 상자를 나르는 대리점주 이종혁 씨. <br> <br>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배송에 매달립니다. <br> <br>[이종혁 / 택배 대리점주] <br>"절반 정도 배송하긴 했는데, 아까는 차가 꽉 차 있었거든요. 다 크거나 생물 위주잖아요? (택배기사들이) 고층 이런 식으로 상가 당 하나씩 빼놔요. 가기 싫은 거, 귀찮은 거." <br> <br>일부 택배기사가 수수료 인상 등을 요구하며 물건을 배달하지 않고 놔두고 가는 겁니다. <br> <br>택배업은 택배회사가 대리점과 계약을 맺고, 대리점이 택배기사를 고용하는 형태로 운영됩니다. <br> <br>그러다보니 원청인 택배회사는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상황. <br><br>[택배회사 관계자] <br>"(두고 가도 돼요?) 원래는 안 되죠. 직접적인 계약관계가 아니니까 본사에서는 제재를 못하죠. 그래서 집배점을 통해서 시정 요청을 하는 거죠." <br> <br>일부 전문가는 택배회사의 역할이 좀더 커져야 한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김성희 /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교수] <br>"(고객이) 택배회사 이름을 보고 거래하는 거지 대리점을 보고 위탁하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. 대리점도 을이고 택배기사도 을인데, 원청은 먼 산 불 구경하지 말고 당사자로서 책임을 가지고…." <br> <br>국민 1인당 연간 택배 이용 횟수는 평균 65회. <br> <br>이영훈 씨 사망 이후에도 택배현장의 갈등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남영주입니다.<br> <br>PD : 윤순용 <br>AD : 나난현<br /><br /><br />남영주 기자 dragonball@ichannela.com